서론

TypeError: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는 최신 JavaScript(ES6 이상)에서 흔히 발생하는 오류다. 이 오류는 const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된 변수에 값을 재할당하려고 할 때 발생한다. 이 가이드에서는 const의 동작 방식, 이 오류가 발생하는 이유, 그리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변수를 올바르게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const 이해하기

const 키워드는 상수를 선언하기 위해 ES6에서 도입되었다. 상수는 재할당을 통해 값을 변경할 수 없는 변수다. const로 변수를 선언할 때는 반드시 값으로 초기화해야 하며, 나중에 새로운 값을 할당할 수 없다.

const의 주요 속성:

  1. 재할당 불가: 일단 값이 할당되면 변수 식별자는 새로운 값을 가리킬 수 없다.
  2. 반드시 초기화 필요: const 변수를 선언할 때는 값을 제공해야 한다.
  3. 블록 스코프: let과 마찬가지로 const 변수는 정의된 블록({...})에 스코프가 한정된다.

오류 예시

const myName = "Alice";

console.log(myName); // 출력: "Alice"

// 상수 변수에 재할당 시도
myName = "Bob"; 
// TypeError: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 오류 발생

이는 myName이 상수로 선언되었기 때문에 JavaScript 엔진이 할당 변경을 막기 때문에 발생한다.

해결 방법

해결책은 변수에 대한 의도에 따라 달라진다.

1. 변경이 필요한 변수에는 let 사용하기

변수의 값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되도록 의도했다면 const 대신 let으로 선언해야 했다. let 키워드는 재할당할 수 있는 블록 스코프 변수를 선언한다.

해결책:

let myName = "Alice"; // 'const' 대신 'let' 사용

console.log(myName); // 출력: "Alice"

// 이제 이것은 유효한 재할당이다
myName = "Bob"; 
console.log(myName); // 출력: "Bob"

이것이 가장 일반적인 해결책이다. 나중에 업데이트가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은 변수에 const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2. 객체 및 배열과 함께 const 사용 시 주의사항

흔히 혼동하는 부분은 const가 객체 및 배열과 어떻게 작동하는지다. const로 객체나 배열을 선언하면 변수 자체를 새로운 객체나 배열로 재할당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객체의 속성이나 배열의 요소는 변경할 수 있다.

객체 예시:

const person = {
  name: "Alice",
  age: 30
};

// 이것은 허용됨: 상수 객체의 속성 수정
person.age = 31; 
console.log(person.age); // 출력: 31

// 이것은 허용되지 않음: 상수 변수를 새로운 객체로 재할당
person = { name: "Bob", age: 40 }; 
// TypeError: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 오류 발생

배열 예시:

const myNumbers = [1, 2, 3];

// 이것은 허용됨: 상수 배열의 내용 수정
myNumbers.push(4);
console.log(myNumbers); // 출력: [1, 2, 3, 4]

// 이것은 허용되지 않음: 상수 변수를 새로운 배열로 재할당
myNumbers = [5, 6, 7];
// TypeError: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 오류 발생

객체의 속성이 변경되는 것을 막으려면 Object.freeze()를 사용해야 한다.

const person = Object.freeze({
  name: "Alice",
  age: 30
});

person.age = 31; // 오류는 발생하지 않지만, strict mode에서는 변경이 무시된다.
console.log(person.age); // 출력: 30

모범 사례

  • 기본적으로 const 사용: 일반적인 규칙으로, 모든 변수를 기본적으로 const로 선언한다.
  • 필요할 때만 let으로 전환: 변수를 재할당해야 할 필요가 생기면, 그때 가서 선언을 const에서 let으로 변경한다. 이 습관은 우발적인 재할당을 방지하고 코드를 더 예측 가능하게 만든다.

constlet의 차이점을 이해하면 TypeError: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를 쉽게 피하고 더 견고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Leave a comment